온라인 학원과 수학 강사가 말한다! "중학생의 학원 선택이 간단 해지는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보다 큽니다!"


중학생에게 인기 있는 온라인 학원이자 수학 및 과학 전문 강사인 KO-HEI입니다. 오늘은 "중학생을 위한 학원 선택"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실은 중학생은 「학원의 선택 방법」에 가장 신중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만, 어딘가를 쉽게 선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굳이 「중학생」에 한정해, 진학을 위한 학원의 선택 방법에 어드바이스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초등학생은 중학교 입시를 전제로 학원을 선택해, 대기업 중학교 입학 시험 학원 또는 전공 적합 학원에 다니고, 전공 학원의 교재를 이용하여 커리큘럼을 안내합니다. 교재는 사고력을 상당히 습득할 수 있고, 극단적인 경우 학원의 레일에 올라타기만 하면 어느 정도의 사고력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한편, 중학생은 학원을 선택할 때 그렇지 않습니다. 중학생을 위한 학원은 지역 밀착형의 것이 대부분이고, 지역 중학교의 수업을 베이스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애초에 중학생의 학력의 척도는 정기시험을 중시하는 성적표밖에 없다. 학생도 학부모 선생님도 「정기시험」을 잘 준비하는 학원에 대해 호의적인 인상을 가지고 있는 것은 당연합니다. 거기서 다니고 있는 학교의 정보를 잘 알고 있고, 〇〇중학교(다니고 있는 학교)의 정기시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런 간판에 매료되어 "쉽게 학원을 선택한다"라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학교에서 정기시험을 준비하는 것도 공부의 기본이지만, 정기시험의 공부 방법이 과연 사고력을 기르는 학습인가가 문제! 라는 뜻입니다. 오해하지 않았으면 합니다만, 훌륭한 지역 밀착 학원이 많고, 「지방의 학원」을 부정하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여기서 전하고 싶은 「학원 선택의 쉬운 방법」의 문제점은, 「당분간」정기시험을 준비하면 「당분간」, 「당분간' 성적이 오르고, 「당분간」공부 습관을 몸에 익히면 좋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과 수학 교사이기 때문에 주로 수학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만, 중학교 수학은 초등학교 수학과는 전혀 다릅니다. 즉, 중학교 수학은 초등학교 수학의 내용을 정식화하는 학습으로부터 시작되지만, "그 공식의 의미에 대한 확고한 이해에 근거한 학습인지 아닌지"가 향후의 과학과 수학 과목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대부분의 학생은 중학교 1학년 때 배운 1차 방정식으로 계산 문제를 풀 수 있지만, 「문장 문제를 풀 수 없다」 「문장 문제를 잘 못한다」라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또, 중학교 2학년에서 배우는 방정식계에서도 덧셈과 뺄셈을 신경쓰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어느 정도의 훈련으로 계산할 수 있는 학생은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적용된 문제에 관해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응용 문제의 대부분은 "문장 문제"입니다. 즉, 산술을 공식화하는 계산은 할 수 있지만, 그 공식의 의미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문장 문제」나 「신청 문제」가 되면 참을 수 없게 됩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합니까? 그 이유는 수학 공식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수식 사용법 (계산)을 마스터하는 데만 집중하는 공부 습관이되어 버렸기 때문입니다. 이 학생들은 문제가 무엇인지 전혀 모릅니다. 문제의 현상을 머릿속에는 상상할 수 없기 때문에, 「모르는 것을 X로 넣으면 해결할 수 있다」라고 하는 느낌으로 해결하려고 합니다. 그 대답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모르기 때문에 무리가 되어도 문제없이 답안을 기입해 갑니다. 즉, 사고력이 전혀 필요하지 않고 산술 연습에 불과한 수동 수학 학습 방법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게다가 수작업으로 공부하는 것에 익숙해지면, 무의식적으로 「우선 공식에 바르는 것만으로」라고 하는 신드롬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중학교 1 학년과 2 학년의 함수입니다. 그래프 Y=aX b, Y=aX2는 무엇을 의미합니까?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a, b, x의 값을 다시 계산하고 풀면서 "당분간은 이 방정식에 함수를 대입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함수가 간단하다!" 계산 연습 정도로하는 수준에서 한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중학교 정기시험에서는 클리어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고등학교 입시에서는 대답할 수 없게 됩니다. 반대로 고등학교 입학 후 학생들은 고등학교 수학 1A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으며, 기호 목록보다 수학이 더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한편, 초등학교 수학으로 중학교 입시를 위해 공부한 학생은 '곱셈', '과잉 및 결핍 산술', '등가 산술', '소거 산술' 등 모든 종류의 산술과 중학교 수학에서 배운 방정식 X를 가지고 있습니다,나는 "Y"를 "사과"와 "만다린"으로 바꾸면서 배우고 있습니다. 수학 공식을 사용하지 않지만 머릿속으로 사과와 귤을 상상하고 해결합니다. 중학교 입시에는 장단점이 있습니다만, 적어도 중학교 수학에서 배운 공식의 의미는 중학교에 입학할 무렵에는 어느 정도 알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수학 공식의 의미를 이해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은 향후 응용 및 쓰기 문제에서 큰 차이를 보일 것입니다. 이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중학교에서 학원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수학의 시작이 되는 중학교에서 수학 공식의 의미를 배우고, 문제를 머릿속에 체화할 수 있는 지도를 받을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원은 학생의 '정기시험 준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정기시험 성적 향상' '가능한 한 많은 점수를 얻는'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동아리 활동 후 등 탈진 후의 학원이기 때문에 시간에 한계가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만, 시험 결과에만 초점을 맞추어 「이렇게 풀어라」 「이렇게 풀어라」라고 하는 풀이 기술만을 가르치는 것에 익숙해지면 수학은 절대 할 수 없게 됩니다. 이런 지도만 받으면 무의식적으로 「뜻은 모르지만 이렇게 하면 풀 수 있어」라든가 「이렇게 하면 점수가 오겠지」라고 말해 즉석학습이 대세가 되어 버린다. 정규시험을 치르면 그래도 일정 점수를 받아 어떻게든 합격할 수 있지만, 이것은 3년 후의 고등학교 입시와 그 후의 고등학교 수학에 큰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그들은 이 흔한 수동 학습이 "공부"라고 가정하고 "생각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모릅니다. 강사는 "더 생각하고 공부하자"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은 수동 학습에 익숙해진 학생은 "생각"자체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생각하는' 배움에서 멀어진 학생에게 '생각하는 수학'을 가르쳐도 흥미가 없고, 피곤하다는 이유만으로 '수학'에서 멀어지는 것입니다. "수학을 잘하지 못하니까 어떻게든 클리어하면 된다"라든가 "수학이 없는 학교를 선택하고 싶다"라고 안착하려고 합니다. 해결 기술만 공부하는 습관을 들이면 습관을 들일 수 없습니다. 생각하지 않아도 손으로 어느 정도의 점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인 자신은 「이것으로 좋다」 「이것으로 점수를 얻을 수 있다」라고 이상한 자신감을 가지고 개선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등학교 수학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학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수학을 할 수 없다고 한탄하기 시작하지만 그때는 이미 늦었습니다! 중학교 3년간으로 몸에 익힌 버릇이나 버릇은 버리기 어렵고, 이상과 같이 애초에 생각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조차 모르는 현상에 빠져 버립니다. [...]

모두 보기